카테고리 없음

사회심리학 : 왜 하지 말라는 건 더하고 싶을까?

람마스 2021. 9. 27. 13:19
728x90
반응형
SMALL

학생들에게 저항력 훈련을 시행해 불건전한 습관으로 이끌려는 친구들의 유혹을 뿌리치는 기술을 갖추게 하려는 학교가 많아 졌습니다.

학생들은 '싫다고 말하기' 훈련의 형태로 진행되는 저항 기술 교육을 통해 친구들의 부정적 영향력을 피하는 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들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았습니다.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스스로 친구의 영향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졌다고 생각하게 되었음에도 불건전한 습관에 더 쉽게 빠진 것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나게 된 것일까요? 로스앤젤레스와 샌디에이고 카운티의 공립학교 체계에 대한 연구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음주 제한을 위해 중학교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영향을 살펴 보았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싫다고 말하기'행사에 여러번 참가하고 술을 마시자는 친구들의 압박에 저항하는 연습을 하며 또래 아이들의 음주 행동이 생각보다 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에 서는 '싫다고 말하기'연습을 통해 저항 기술을 알려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의도치 않은 메시지를 전달하였습니다.

"네 친구들 가운데 이런 행동을 하는 아이가 많고 너도 가티 하기를 바라고 있어." 따라서 이 학생들은 또래의 유혹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은 커졌지만, 음주가 또래 아이들의 규범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어 오히려 저항하려는 동기가 약해 졌습니다.

이런 식으로 역효과를 낳는 것은 비단 음주 행동 감소 프로그램만이 아닙니다.

스탠포드대학교 여학생들은 식이 장애 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전 보다 식이 장애 증상을 더 많이 보였습니다.

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것일까요? 이 프로그램의 핵심은 친구들끼리 자신의 나쁜 식생활에 대해 털어 놓는 것이었습니다.

그리하여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그런 행동이 널리 퍼져 있다고 생가갛게 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뉴저지주의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프로그름은 참가자들에게 10대 자살률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알려 주었습니다.

그결과 참가자들은 각자 당면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자살을 떠올리는 경향이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건강 관련 교육자들은 어떤 문제가 애석할 정도로 자주 일어난다는 정보를 알려주며 주의를 환기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해할 수는 있지만 현명하지 않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너와 비슷한 사람들이 모두 이렇게 해로운 행동을 하고 있어"라는 말이 "너와 비슷한 사람들이 모두 그 행동을 하고 있어."라고 변형된 메시지를 강력하게 전달한다는 사실을 간과 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부메랑 효과를 피하려면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건강 관련 교육자들은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참가자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일반적이지 않고 예외적인 일로 보게 해야 합니다.

그래야 규범의 힘이 반대로 작용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발휘하는데 쓰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항 기술 훈련에 건전한 행동이 규범임을 보여주는 내용을 넣으면 프로그램의 효과가 약해지는 대신 저항 동기가 강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청소년들은 또래 아이들의 불건전한 행동과 그것을 향한 욕구에 저항할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래 친구들 대다수가 더 건전한 행동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프로그램이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됩니다.

규범과 상호작용해 그 규범이 잡단 구성원에게 미치는 형향을 좌우하는 두 번째 요소는 집단과의 동일시입니다.

대학교에서 수업을 듣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대학생으로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당신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많은 대학생들이 종교, 가족 , 인종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측면에서 자신을 설명할 것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대학생들의 규범에 그리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집단의 일원이지만 자신을 지받ㄴ과 그만큼 강하게 동일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테버러 테리와 마이클 호그는 호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러한 의견을 잘 뒷받침하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가 교정에서 규칙적으로 운동하기라는 학생들 사이에 자리 잡은 규범이 얼마나 강력하다고 생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의 대학 친구들이 규칙적 운동에 얼마나 찬성하는지 물었습니다.

또한 이 학생들이 자신을 대학 친구 집단과 얼마나 동일시하는지도 조사했습니다.

앞으로 몇 주 동안 규칙적으로 운동할 의향에 대해 묻자 자신을 다른 대학생들과 강하게 동일시한 학생들만이 집단 규범에 따르기로 했습니다.

집단과의 동일시 정도가 약한 학생들은 집단 구성원들의 인정에 영향받지 않고 자신의 운동 계획을 세웠습니다.

요컨대 집단의 규범이 강력하더라도 자신을 집단 구성원과 심리적으로 동일시하지 않는 사람은 그 규범에 따라 행동하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